법률 이야기

통신매체이용음란죄(통매음) 고소 대응 방법: 법적 대응과 해결 방안 ⚖️📱

정보 사냥꾼 Ver.6110 2025. 3. 18. 00:04
반응형

랜덤채팅 앱을 이용하던 중 상대방에게 성기 노출 사진을 전송한 후, 해당 사진이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에 신고되었으며, 상대방이 합의금 200만 원을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신매체이용음란죄(통매음)의 성립 여부, 실제 법적 처벌 가능성, 합의 방법, 사기 가능성 여부, 법적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통신매체이용음란죄(통매음)란?

통신매체이용음란죄(형법 제138조)

"자신의 성적 욕망을 만족시킬 목적으로 전화, 인터넷, 문자 등 전자적 방식으로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메시지나 영상을 보낸 경우 처벌 대상이 된다."

📌 법적 처벌 수위

  •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 전자발찌 부착이나 신상공개 대상 아님

통매음 성립 요건
✔️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사진(성기 노출 포함) 또는 메시지를 전송했는가?
✔️ 상대방의 요청 없이 해당 사진을 전송했는가?
✔️ 피해자가 신고했는가?

📌 결론:

  • 상대방이 먼저 사진을 요청한 경우라도, 불법성이 완전히 배제되지는 않음.
  • 하지만 사기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신고 여부를 확실히 검토해야 함.

🚨 현재 상황에서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 분석

현재 진행 상황
✔️ 랜덤채팅 앱에서 닉네임 "사진 보내봐"라는 상대방에게 성기 사진 전송
✔️ 오픈채팅 이동 후, 상대방이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화면을 보여줌
✔️ 합의금 200만 원 요구

📌 사기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

  • 일반적으로 경찰 신고 후 바로 합의금을 요구하는 경우는 없음.
  •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의 "임시 접수" 화면만 보여주고 협박하는 것은 사기일 가능성이 큼.
  • 진짜 신고가 접수되었다면 경찰서에서 연락이 와야 함.

📌 결론:

  • 현재 신고 여부가 확실하지 않으므로, 실제 경찰 접수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함.
  • 상대방의 신원이 불명확한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높음.

🛡️ 실제 경찰 신고 여부 확인 방법

경찰 신고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방법
1️⃣ 경찰청(☎️182) 또는 사이버수사대에 직접 문의
2️⃣ "통신매체이용음란죄로 내 사건이 접수되었는지 확인하고 싶다"고 문의
3️⃣ 접수된 사건이 없으면 사기일 가능성이 높음

📌 사기일 경우
✔️ 경찰 신고 기록이 없다면 절대 합의금을 주지 말 것
✔️ 상대방이 신원을 밝히지 않거나, 카카오톡·랜덤채팅으로만 연락을 요구하면 100% 사기

📌 실제 신고가 접수되었을 경우
✔️ 경찰서에서 연락이 올 것이며, 조사 출석 요청이 있을 수 있음
✔️ 이 경우 합의를 진행할지, 정식 조사에 응할지 결정해야 함


💰 합의가 필요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합의할 때 유의해야 할 점
1️⃣ 합의서 작성 필수 → 합의금을 지불한 후 추가 요구가 없도록 하기 위함
2️⃣ 공식적인 법률 문서(변호사 동반)로 진행
3️⃣ 계좌 이체 내역 보관 (현금 지급 X)

📌 합의가 불필요한 경우
✔️ 상대방이 신원을 공개하지 않고 합의금을 요구 → 사기 가능성 높음
✔️ 경찰에 확인했을 때 신고 내역 없음절대 돈을 주지 말 것


🚔 경찰 조사가 진행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경찰 조사 진행 시 대처법
✔️ 변호사 선임 후 진술 조율 (자극적인 발언 삼가)
✔️ "상대방의 요청에 따라 보낸 것이며, 악의적 의도가 없었다"고 진술
✔️ 과거 전과가 없으면 벌금형 가능성이 높음

📌 초범이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면 대부분 벌금형으로 마무리됨.


📢 결론: 신고 여부 확인 후 신중한 대응 필요!

사기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경찰 신고 여부 확인 필수!
실제 신고가 접수되지 않았다면 절대 돈을 주지 말 것!
신고가 접수된 경우 변호사 상담 후 합의 또는 조사 대응 준비
초범이라면 벌금형 가능성이 높으며, 신상 공개 대상 아님

📌 랜덤채팅에서 발생하는 통매음 사기는 매우 흔한 수법이므로, 경찰 확인 없이 합의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