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의 해고는 종종 감정적인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법적 대응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합니다. 최근 한 직장인이 해고 후 해고예고수당 미지급 문제로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회사 대표의 반응으로 모욕죄 신고를 받겠다는 협박을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의 법적 대응 방법과 모욕죄의 성립 여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상관모욕죄와 일반 모욕죄의 차이상관모욕죄는 군형법상 존재하는 법률 용어로, 일반 회사나 사업장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 직장인이 회사에서 상관모욕죄를 주장하는 것은 법적 근거가 없습니다. 일반적인 모욕죄는 타인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수 있는 내용을 공연히 표현하는 경우 성립할 수 있습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