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에서 발생하는 법적 분쟁 중 협박, 공갈, 갈취 와 관련된 사건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랜덤 채팅 을 통해 상대방이 성적인 발언을 했을 경우, 이를 문제 삼아 형사고소(통신매체이용음란죄, 아동청소년 성보호법 위반 등) 를 하겠다고 경고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이 공갈 및 협박죄로 역고소를 하겠다 고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갈죄와 협박죄의 차이점, 상대방이 주장하는 변호사 비용·운영비 청구 가능 여부, 무고죄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공갈죄(형법 제350조)와 협박죄(형법 제283조)의 차이
1️⃣ 공갈죄와 협박죄, 어떤 경우 적용될까?
✅ 공갈죄 (형법 제350조)
- 상대방을 위협하여 재산을 갈취 하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할 경우 성립
- 실제 돈을 빼앗지 않더라도 위협을 통해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꼈다면 성립 가능
✅ 협박죄 (형법 제283조)
- 폭행이나 해악을 가하겠다고 위협하는 행위
- 직접적인 폭력 없이도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낄 만한 언행 을 했다면 협박죄 성립 가능
📌 즉, 단순히 "고소를 하겠다"는 말 자체는 공갈죄나 협박죄로 성립되지 않지만, 금품을 요구하거나 상대를 위협하는 방식이라면 공갈죄·협박죄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즉, 상대방이 "변호사 비용, 법인 운영비를 청구하겠다"고 했다면, 그것이 협박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는지가 핵심입니다.
🏛️ 상대방의 "변호사 비용·운영비 청구"는 정당한가?
2️⃣ 변호사 비용, 법인 운영비를 청구할 수 있을까?
✅ 상대방이 "공갈죄로 고소하겠다"면서 변호사 비용이나 법인 운영비를 요구하는 것 은 법적으로 성립되기 어렵습니다.
📌 왜냐하면?
- 변호사 비용은 본인이 선택한 것이므로 상대방이 부담할 의무 없음
- 법인 운영비 역시 본인의 사업 비용이므로 청구 자체가 불가능
- 법적 분쟁의 경우, 상대방이 소송을 제기하더라도 패소하지 않는 이상 상대방이 비용을 청구할 근거가 없음
💡 즉, 변호사 비용을 청구하겠다고 협박하는 것은 명백한 협박 및 공갈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의 "운전해서 칠 수도 있다" 발언, 협박죄 성립 가능성
3️⃣ 실제로 협박죄가 될까?
✅ 협박죄는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낄 만한 위협적인 발언을 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운전하다가 칠 수도 있다"는 발언은 어떻게 해석될까?
- 단순한 말장난으로 볼 수도 있지만, 상대방이 실제로 위협을 느꼈다면 협박죄로 인정될 가능성 있음
- 특히, 상대방이 반복적으로 위협적인 메시지를 보냈다면 협박죄 성립 가능성 높아짐
💡 즉, 상대방이 실질적으로 위협적인 발언을 했다면 협박죄로 고소할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이 "공갈죄로 역고소하겠다"고 주장하는 경우
4️⃣ 공갈죄 역고소 가능성은?
✅ 단순히 고소를 하겠다고 한 것은 공갈죄가 되지 않음
✅ 하지만 "돈을 주지 않으면 고소하겠다"는 식으로 요구했다면 공갈죄 가능성 있음
✅ 단순히 법적 대응을 안내한 것이라면 공갈죄에 해당하지 않음
📌 즉, 상대방이 ‘고소하겠다’는 말만으로 공갈죄로 역고소하는 것은 불가능
📌 다만, 상대방이 금품을 요구하며 협박을 했다면 공갈죄가 성립할 수 있음
💡 즉, 상대방이 "공갈죄로 역고소하겠다"고 주장하는 것은 법적으로 가능성이 낮음.
⚖️ 상대방을 "무고죄(형법 제156조)"로 고소할 수 있을까?
5️⃣ 무고죄 성립 가능성
✅ 무고죄란?
- 허위 사실 을 바탕으로 상대방을 형사 고소할 경우 성립
- 단순한 고소 자체는 무고죄가 아니며, 고소 내용이 명백한 거짓일 경우에만 해당
📌 즉, 상대방이 명백한 허위 사실로 고소했다면 무고죄 성립 가능
💡 즉, 상대방이 악의적으로 거짓된 사실로 고소했다면 무고죄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결론
✔ 공갈죄와 협박죄는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낄 정도의 위협적인 언행이 있어야 성립됨
✔ "변호사 비용, 법인 운영비 청구하겠다"는 말 자체가 공갈죄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음
✔ "운전해서 칠 수도 있다"는 발언은 협박죄로 고소 가능성 있음
✔ 상대방이 무리한 역고소를 한다면, 무고죄로 대응 가능
📌 즉, 상대방의 협박이 반복되거나 실제로 금품을 요구했다면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을 고려해야 합니다.
'법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리운전 중 발생한 모욕죄 성립 여부 및 협박죄 대응 방법 (2) | 2025.04.13 |
---|---|
🎭 공연음란죄와 몰래카메라 법적 책임, 신고 가능성 분석 (3) | 2025.04.12 |
💰 빌려준 돈, 형사 고소 후에도 못 받았다면? 민사소송으로 돌려받는 방법 (3) | 2025.04.10 |
🏠 전세 만료 후 보증금 반환, 변호사를 통한 내용증명 및 법적 대응 (2) | 2025.04.09 |
🔍 오픈채팅방에서 개인정보 무단 공개, 법적 대응 가능할까? (3)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