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이야기

⚖️ 공갈·갈취·협박죄의 이해와 법적 대응 방법

정보 사냥꾼 Ver.6110 2025. 4. 11. 03:11
반응형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법적 분쟁 중 협박, 공갈, 갈취 와 관련된 사건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랜덤 채팅 을 통해 상대방이 성적인 발언을 했을 경우, 이를 문제 삼아 형사고소(통신매체이용음란죄, 아동청소년 성보호법 위반 등) 를 하겠다고 경고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이 공갈 및 협박죄로 역고소를 하겠다 고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갈죄와 협박죄의 차이점, 상대방이 주장하는 변호사 비용·운영비 청구 가능 여부, 무고죄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공갈죄(형법 제350조)와 협박죄(형법 제283조)의 차이

1️⃣ 공갈죄와 협박죄, 어떤 경우 적용될까?

공갈죄 (형법 제350조)

  • 상대방을 위협하여 재산을 갈취 하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할 경우 성립
  • 실제 돈을 빼앗지 않더라도 위협을 통해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꼈다면 성립 가능

협박죄 (형법 제283조)

  • 폭행이나 해악을 가하겠다고 위협하는 행위
  • 직접적인 폭력 없이도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낄 만한 언행 을 했다면 협박죄 성립 가능

📌 즉, 단순히 "고소를 하겠다"는 말 자체는 공갈죄나 협박죄로 성립되지 않지만, 금품을 요구하거나 상대를 위협하는 방식이라면 공갈죄·협박죄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즉, 상대방이 "변호사 비용, 법인 운영비를 청구하겠다"고 했다면, 그것이 협박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는지가 핵심입니다.


🏛️ 상대방의 "변호사 비용·운영비 청구"는 정당한가?

2️⃣ 변호사 비용, 법인 운영비를 청구할 수 있을까?

✅ 상대방이 "공갈죄로 고소하겠다"면서 변호사 비용이나 법인 운영비를 요구하는 것 은 법적으로 성립되기 어렵습니다.

📌 왜냐하면?

  1. 변호사 비용은 본인이 선택한 것이므로 상대방이 부담할 의무 없음
  2. 법인 운영비 역시 본인의 사업 비용이므로 청구 자체가 불가능
  3. 법적 분쟁의 경우, 상대방이 소송을 제기하더라도 패소하지 않는 이상 상대방이 비용을 청구할 근거가 없음

💡 즉, 변호사 비용을 청구하겠다고 협박하는 것은 명백한 협박 및 공갈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의 "운전해서 칠 수도 있다" 발언, 협박죄 성립 가능성

3️⃣ 실제로 협박죄가 될까?

✅ 협박죄는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낄 만한 위협적인 발언을 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운전하다가 칠 수도 있다"는 발언은 어떻게 해석될까?

  • 단순한 말장난으로 볼 수도 있지만, 상대방이 실제로 위협을 느꼈다면 협박죄로 인정될 가능성 있음
  • 특히, 상대방이 반복적으로 위협적인 메시지를 보냈다면 협박죄 성립 가능성 높아짐

💡 즉, 상대방이 실질적으로 위협적인 발언을 했다면 협박죄로 고소할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이 "공갈죄로 역고소하겠다"고 주장하는 경우

4️⃣ 공갈죄 역고소 가능성은?

단순히 고소를 하겠다고 한 것은 공갈죄가 되지 않음
✅ 하지만 "돈을 주지 않으면 고소하겠다"는 식으로 요구했다면 공갈죄 가능성 있음
단순히 법적 대응을 안내한 것이라면 공갈죄에 해당하지 않음

📌 즉, 상대방이 ‘고소하겠다’는 말만으로 공갈죄로 역고소하는 것은 불가능
📌 다만, 상대방이 금품을 요구하며 협박을 했다면 공갈죄가 성립할 수 있음

💡 즉, 상대방이 "공갈죄로 역고소하겠다"고 주장하는 것은 법적으로 가능성이 낮음.


⚖️ 상대방을 "무고죄(형법 제156조)"로 고소할 수 있을까?

5️⃣ 무고죄 성립 가능성

무고죄란?

  • 허위 사실 을 바탕으로 상대방을 형사 고소할 경우 성립
  • 단순한 고소 자체는 무고죄가 아니며, 고소 내용이 명백한 거짓일 경우에만 해당

📌 즉, 상대방이 명백한 허위 사실로 고소했다면 무고죄 성립 가능

💡 즉, 상대방이 악의적으로 거짓된 사실로 고소했다면 무고죄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결론

공갈죄와 협박죄는 상대방이 두려움을 느낄 정도의 위협적인 언행이 있어야 성립됨
"변호사 비용, 법인 운영비 청구하겠다"는 말 자체가 공갈죄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음
"운전해서 칠 수도 있다"는 발언은 협박죄로 고소 가능성 있음
상대방이 무리한 역고소를 한다면, 무고죄로 대응 가능

📌 즉, 상대방의 협박이 반복되거나 실제로 금품을 요구했다면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을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