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의신탁약정 2

부동산 명의신탁: 법적 의미와 실명법 규정

부동산 명의신탁: 법적 의미와 실명법 규정부동산 명의신탁은 부동산 거래에서 중요한 법적 개념으로, 부동산실명법에 의해 규제됩니다. 본 글에서는 명의신탁의 의미, 유형, 그리고 부동산실명법 제3조 1항의 적용과 예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명의신탁의 정의와 의미명의신탁이란 부동산의 실질적인 소유자가 타인의 명의로 부동산을 등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질적인 소유자(명의신탁자)는 대내적으로는 부동산의 권리를 보유하지만, 대외적으로는 타인(명의수탁자)의 명의로 등기를 하여 소유권을 행사하게 합니다.부동산실명법 제3조 제1항은 "누구든지 부동산에 관한 물권을 명의신탁약정에 따라 명의수탁자의 명의로 등기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명의신탁에 따른 등기를 금지하여 부동산 거래의 투명성과 ..

법률 이야기 2024.06.21

매도인 명의로 등기를 남겨두기로 하는 형식의 명의신탁: 법적 쟁점과 판례

매도인 명의로 등기를 남겨두기로 하는 형식의 명의신탁: 법적 쟁점과 판례부동산 매매계약 체결 후, 등기를 매도인 명의로 그대로 남겨두는 경우는 명의신탁계약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상황은 '2자간 등기명의신탁'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명의신탁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이는 대법원 2010. 2. 11. 선고 2008다16899 판결에서 명확히 규정되었습니다.2자간 등기명의신탁의 개념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이하 '부동산실명법') 제2조에 의하면, 명의신탁약정은 부동산에 관한 소유권 기타 물권을 보유한 자 또는 사실상 취득하거나 취득하려고 하는 자가 타인과의 사이에서 대내적으로는 명의신탁자가 부동산에 관한 물권을 보유하거나 보유하기로 하고 그에 관한 등기는 명의수탁자 명의로 하기..

법률 이야기 2024.06.14
반응형